그래픽카드 (GPU)
단어에도 유추할 수 있듯이 그래픽을 표현하는데 특화된 장치다
흔히 GPU라고도 부른다 (Graphic Processing Unit)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그래픽카드는 디따 큰 물체인데
사실은 다 쿨링팬이고 그 속에있는 카드인 GPU가 진또베기임 ㅇㅇ뭐 vram도 있긴 하지만)
그림자나 질감, 축소, 이동, 확대 등 다양한 표현을 하기 위해선
수많은 연산을 해야한다
근데 그 연산이 굉장히 복잡하진 않고
단순하지만 양이 매우 많은 연산을 해야 함
(미적분 계산을 하기보다는 1+1 같은 계산을 수천만 번 하는 셈)
이런 특성 때문에 요즘은 단순히 그래픽뿐만이 아닌
인공지능 딥러닝에도 활용된다고 함
다 이런 원리임 (단순반복 ㅇㅇ)
CPU에서 언급했지만 코어라는 개념이 있다
코어가 많으면 일손이 많아지니 병렬처리가 수월하다고 했쥬?
그래서 그래픽카드에는 CPU와 비교도 안될 정도의 코어가 들어가 있음
(최소 10,000개 정도일걸?)
그래서 쉬운 문제는 GPU한테 줘버리고
복잡한 문제는 CPU에게 주니 컴퓨터가 더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겠지?
무튼 돌아와서 그래픽카드를 살 때 고려해야 할 요소는 다음과 같다
1. 모델 제품군
2. 해상도
3. vram와(비디오 메모리) 대역폭
4. 전력과 냉각
가격은 당연해서 뺏다
1. 모델 제품군
제조사는 엔비디아, 인텔, AMD가 있는데 엔비디아가 압도적임
실제로 엔비디아의 그래픽카드 시장 점유율이
현재 80% 이상이기 때문에 필자도 엔비디아 제품군 위주로 설명함
보통 이 글을 참고하는 분들은 게임 목적으로
컴퓨터를 마련하는 사람들일 거 같아서
그래픽카드 사려면 게이밍에 특화된
GeForce(지포스) 제품을 사면 된다
(필자도 지포스 위주로 설명할 거임)
그 밖에 다른 제품도 있긴 있는데
본인이 고급 렌더링을 필요로 한다거나
AI를 돌리거나 과학적 계산 뭐 이런 거 아니면 지포스 쓰면 된다
(영상 편집이나 블렌더 작업 같은 경우는 지포스 써도 무방함,
가격면이나 성능면에서도 지포스가 더 나음)
만약 본인이 그냥 문서만 띡띡 작업할 거면
CPU만으로도 충분하기 때문에 그래픽카드는 안 사도 된다
그래픽카드는 어디까지나 필수제품이 아닌 선택사항이기 때문에
본인의 사용 목적에 맞게 선택하면 된다
(하지만 요즘 같은 현실은 필수템 ㅇㅇ)
2. 해상도
그래픽카드는 모니터와도 연관이 있다
(그래픽카드만 줜나 좋은 거 사고 모니터는 똥 같은 거 쓰면 의미 없단 얘기)
모니터에 해상도란 개념이 있다
우리가 모니터를 가까이서 살펴보면
수많은 점들 같은 게 RGB(빨, 초, 파)를 내면서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는데 이게 픽셀이다
그리고 이런 픽셀의 전체 크기라고 해야 할까? 그게 해상도임
해상도가 높을수록 (픽셀이 많을수록) 더 선명한 화질이 되겠쥬?
무튼 모니터 설명할 때도 언급하겠지만
FHD의 해상도가 1920 x 1080이다
(FHD를 1080p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QHD는 1440p, 2k이고 UHD는 4k ㅇㅇ)
가로 1920개의 픽셀, 세로 1080의 픽셀.
총 2,073,600개의 픽셀이 모니터에 박혀있다는 뜻
그래서 그게 그래픽카드랑 뭔 관련이 있는데 이 띱떄야, 할 수 있는데
이 픽셀에 전기를 줘서 색상을 나타내는 역할을 그래픽카드가 한다
만약 모니터의 주사율이 144Hz라고 한다면 (1초에 144개의 이미지)
2,073,630 x 144를 하면 298,598,400가 나오는데...
(대충 2x10^3 x 10^3 x 3/2 x 10^2 = 3 x 10^8, 약 3억 → 0.3기가)
그니까 1초에 3억 가량의 픽셀을 계산해서 모니터 화면에 띄운다는 얘기다
(이런 특성 때문에 그래픽카드가 전기를 많이 잡아먹는다
좋은 그래픽과 모니터를 산다면 파워 서플라이도 좋은 걸 사야 한다)
만약 내가 지포스 40라인을 생각한다면
(그래픽 카드 읽는 방법은 맨 마지막에 설명)
모니터를 적어도 QHD나 UHD를 사야
그래픽 카드가 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단 얘기다
(FHD도 물론 잘 돌아가지만 GPU가 너무 오버스펙이라 쓰는 의미가 없단 뜻)
3. VRAM와(비디오 메모리) 대역폭
그냥 GPU 렘 버전이라고 생각하면 됨
근데 그래픽에 특화된 렘이라고 보면 ㅇㅇ
결론부터 말하면 얘도 많으면 많을수록 좋긴 하지만
뭐든지 본인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한 용량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만약 부족하면 프레임 드랍이 생긴다거나 블루스크린이 생길 수 있으니 조심
뭐 웬만하면 12GB면 중~고사양 게임이나 작업은 다 돌아가는데
본인이 좀 더 욕심을 내서 초고사양 게임을 돌린다거나
전문적인 그래픽 작업 등을 고려한다면 16~24GB를 사면 된다
참고로 듀얼 모니터 쓰면 vram 용량이 더 필요하겠쥬?
12GB면 QHD까지는 듀얼로 돌려도 괜찮을 거 같고
그 이상은 UHD? 솔직히 잘 모르겠다
그리고 대역폭은 보통 무슨 비트(bit) 이런 식으로 표기하기보다는
메모리 타입으로 표기하던데 다나와 사이트 검색만 해보면
뒤에 수식어 GDDR6이니 GDDR6 X(D6X)니 붙어있을 거다
이게 메모리 타입, 모델명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정확히는 이게 대역폭을 나타내는 수치는 아닌데
이 모델로 보아 대략 이런 메모리 속도와 이런 대역폭을 기대할 수 있겠군! 이런 느낌?)
흔히 대역폭 개념을 설명할 때 도로와 차량으로 비유한다
속도는 차량(데이터), 대역폭은 도로의 크기
즉, 대역폭-도로가 크면 많은 차량이(데이터) 다닐 수 있으니
전송 속도가 증가한다는 얘기임
즉, 대역폭이 크다는 얘기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이 커진다는 뜻
비디오 메모리 모델은 크게 GDDR6이랑 GDDR6X가 있는데
X 붙은 게 직감적으로 더 좋은 옵션인 것 같쥬?
실제로도 그럼 ㅇㅇ
(그냥 이름 긴 게 더 강해 보이는 건 암묵적인 국룰인가?울트라캡숑변기무지개똥칼라파워 뭐 이러면 졸라 강력해 보이잖슴 ㅇㅇ)
모든 그래픽 카드엔 VRAM이 들어있고
VRAM은 D6 아니면 D6X이기 때문에 취향 것 고르시면 됩니다
(욕심내면 돈 더 주고 X 사는 거고 아님 말고)
4. 전력과 냉각
아까 수많은 연산 작업으로 그래픽 카드가 전력을 많이 소비한다고 했는데
그런 특성 때문에 넉넉한 파워 서플라이를 사야 한다
(안 그럼 셧다운 될 수 있음)
그리고 이건 개인적인 취향인데
파워 서플라이는 좀 넉넉하게 쓰는 게 마음 편하다
(그래픽카드 + 모니터 + CPU + 각종기타 장치들 까지 해서
이 정도 전력 소비가 나오니 이거에 딱 맞게 사야지! 는 좀 불안함)
그래픽카드가 소비하는 전력을
대강 지포스 30 시리즈는 넉넉잡아 300W
40 시리즈는 500W로 어림잡아도 될 듯
본인이 지포스 30을 쓴다면 넉넉잡아
800W짜리 서플라이면 충분할 것 같고
40을 쓴다면 최소 1,000W다 (필자는 1,200W 추천)
수많은 연산을 수행하다 보니 자연스레
발열이 생길 수밖에 없는데 이때 필요한 게 쿨러다
그래픽카드의 대부분의 크기를 차지하는 게 이 쿨러 팬임
(때문에 컴퓨터 케이스에 넉넉히 들어가는지도 파악해야 함)
무튼 그래픽카드 쿨러를 살펴보면 보통은 2 ~ 3개
가끔씩 한 개도 보인다 (물론 개수에 따라 가격차가 있겠쥬?)
본인이 작업을 하거나 초고사양 게임을 즐겨하는 거 아니면
쿨러가 동작하는지도 모를 듯
그러니 본인 사용 목적에 맞게 잘 고르시면 됩니다
이 정도면 그래픽카드를 고르는 기본 개념은 알았다고 생각한다
이제 그래픽카드 읽는 방법을 알아볼 텐데
흔히 지포스 뒤의 숫자를 봤을 거다
기가바이트 GeForce RTX 4070 뭐 이런 식으로 ㅇㅇ
앞에 기가바이트는 제조업 체다
잉? 엔비디아가 만드는 거 아님? 이럴 수 있는데
엔비디아가 설계하고 기가바이트가 만든다고 보면 된다
앞에 이름 MSI, ASUS 같은 건 다 제조사 이름이라 생각하면 됨
GeForce는 게이밍에 특화된 GPU모델이고
RTX는 그냥 최신 기술을 탑재한 모델이다!라고 생각하면 된다
(옛날엔 GTX가 주된 그래픽카드였는데 요즘은 RTX위주로 생산됨
최신 모델, 기술을 탑재하다 보니 가격도 RTX가 더 비싸겠쥬?)
40은 세대(th), 시리즈고
뒤 나머지 숫자는 성능이다 (높을수록 좋음)
추가로 접미사 같은 게 붙는데
많이 보이는 접미사는 Ti와 Super임
차례대로 70→ 70Ti → 70 super →70 Ti super → 80 임
접미사가 붙으면 기존 제품에 약간 성능이 올라간다 보면 된다
마지막으로 임의의 제품을 골라서 배운 개념을 실제로 적용해 보자

갤럭시는 제조사 이름, GPU 모델은 GeForce RTX 40 시리즈에 60 모델임
D6은 GDDR6의 비디오 메모리 모델명이고 8GB는 비디오메모리(VRAM) 용량이다
1번에 사용전력이 160W(와트)로 나와 있는데 '다나와' 사이트의
상품 상세정보 칸에 '권장 파워 용량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창이 나온다

그래픽 카드에 맞는 권장 파워 서플라이가 있으니 참고하면 좋을 듯
내가 임의로 고른 제품 60Ti는 스크롤을 내려보니
권장 서플라이 용량이 650 ~ 900W라고 나와있음
(개인취향이지만 나라면 1,000W짜리 삼, 욕심내면 1,200W)
2번은 가로길이와 두께다
웬 생뚱맞게 가로길이, 두께를 고려하지? 싶을 수 있는데
전에도 언급했다시피 기껏 부품 다 맞추고 조립하려고 하니
케이스에 그래픽카드가 안 들어가면 이마 송송, 부랄 탁! 을 치게 될 것이다
그러니 잘 보고 사자 ㅇㅇ
+참고로 내가 현재 쓰고 있는 GPU를 확인하고 싶다면
Ctrl + Shift + esc를 눌러 성능 탭에 들어가면 확인할 수 있다
(GPU 클릭)
아래는 컴퓨터 부품에 대한 모든 기초 지식을 정리한 글 모음집
조립식 컴퓨터, 각 부품들에 대한 기능과 선택 가이드
-끗-
'잡담 > 어캐 하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쿨러 선택가이드? (0) | 2025.03.05 |
---|---|
파워 서플라이 선택가이드? (0) | 2025.03.05 |
메인보드(마더보드) 선택가이드? (0) | 2025.03.05 |
보조기억장치 선택가이드? (0) | 2025.03.05 |
메모리 - RAM ( Random Access Memory) 선택가이드? (2) | 2025.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