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담/어캐 하누?

메모리 - RAM ( Random Access Memory) 선택가이드?

주인놈 2025. 3. 5. 10:07
반응형

 
 
 

주기억장치인 메모리 - RAM ( Random Access Memory)


 
RAM은 데이터의 임시 저장소라고 생각하면 된다
왜 주(Main)이라는 글자가 들어갔는데 임시라는 개념이 쓰이냐?
 
좀 더 딥하게 들어가자면
CPU는 계산만 처리하고 정보를 저장하지 못하니까
저장하는 곳을 따로 만듦
 
그게 보조기억장치임 (하드디스크 - HDD나 SSD 같은 용량이 매우 큰 장치)
근데 CPU가 HDD로부터 정보를 가져오는 속도가 매우 느리기 때문에
비교적 액세스 속도가 빠른 RAM에 컴퓨터 구동에 필요한
필수 정보를 와바박 때려 박고 필요 없으면 보조기억장치로부터 교체하는 식임
그리고 컴퓨터 전원이 꺼지면 RAM에 있던 정보는 모두 날아감
이걸 휘발성이라고 하는데 뭐 이런 건 패스하고...
 
아무튼 CPU와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장치가 RAM이다 보니
주(Main)가 붙게 된 것임
 
 
 
RAM을 고려해야 할 땐 크게 용량과 속도로 나눈다
 
 
 
2-1. 용량
 
용량은 말 그대로 용량 (뭐 바이트, 킬로, 메가, 기가 이런 거 ㅇㅇ)
당연히 용량이 크면 좋겠지?

비유를 좀 하자면 마트를 보조기억장치라고 한다면 RAM은 장바구니가 되겠다
필요한 자재를 장바구니에 담고 계산해야 비로소 내가 쓸 수 있기 때문 ㅇㅇ
 
즉, 용량이 크면 클수록 장바구니가 카트처럼 담을 수 있는 양이 많아지게 되고
그러면 CPU가 보조기억장치에 데이터를 요구하는 빈도가 줄어들어
성능이 향상된다는 말이다
 
주로 RAM용량은 크게 8, 16, 32, 64기가로 나누는데 16, 32만 보면 된다
왜냐면 주로 이 글을 보는 사람은 좋은 컴퓨터를 맞추기 위해
들어왔을 테니까 8기가는 논외로 하고 64는 왜 배제하냐? 할 수 있다
RAM은 다다익RAM아니냐? (램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지 않냐?)
 
CPU에서도 얘기했듯 무조건 많다고 좋은 것은 아니다
그니까 가성비 대비 성능이 미미한 수준이란 얘기임
내가 진짜 맨날 초고사양게임을 한다거나 블렌더로 3d 작업하고 비디오 편집 같은
대규모 데이터를 처리하는 일 또는 20 ~ 30개의 창을 여러 개 띄워놓는다는
취미가 없는 이상은 16 ~ 32GB로 충분하다
(보급형은 8, 적당한 성능을 내고 싶다면 16, 고급형은 32, 이걸로도 부족하면 64 쓰면 됨
보통 메인보드 램 꽂는 데가 4개니까 부족하다 싶으면 추가하면 됨)
 
 
 
2-2. 속도
 
아까 '용량'에서 보조기억장치가 마트라면 RAM은 장바구니란 비유를 했었다
그러면 램에서의 클럭속도는 나의 걸음걸이가 빨라진다는 얘기다
빨리 담고 빨리 계산하니보다 빨리 쓸 수 있음
(CPU가 원하는 정보를 보다 빠르게 받을 수 있음)
 
RAM에 관한 정보글을 조금 더 찾다 보면 램타이밍이란
개념도 나오는데 얘는 내가 원하는 정보를 찾는 데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비유하자면 내가 하도 마트를 자주가다 보니 위치를 외웠다!
즉, 내가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찾는다!라고 이해하면 된다
 
 
좀 헷갈릴 수 있는데 램타이밍은 CPU가
원하는 정보를 찾는 데 걸리는 시간이구요
속도는 CPU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속도를 말하는 거 ㅇㅇ
 
그러니 램에선 용량과 클럭속도는 높으면 좋구요, 램타이밍은 낮으면 좋습니다
 
+조사하다보면 방열판이란 용어도 나옴
이건 RAM의 온도를 발산시켜 조금 더 늦게 올린다는 느낌으로 이해하면 되는데
필자는 그 돈으로 차라리 좋은 쿨러를 사지...
하고 필자는 아직까진 필요성을 못 느끼는 편
 
 
추가로 램에 대해 검색 좀 해보면
튜닝램, 일반램 뭐 이런 용어도 나오는데
간단히 말하자면 뭔가 RGB로 삐까뻔쩍 하면 튜닝램이다
얘는 안정성보다는 게임에 특화된 성능을 보이는 경우가 많음
 
일반램은 좀 시각적으로 담백하게 생긴 애임
(시금치램도 이에 해당함 - 온통 초록색이라 시금치램이라 부름)
얘는 안정성이 좋아서 본인이 게임만 할 거 아니라면 일반램을 추천한다
 
 
뭐 이 정도면 RAM에 대한 기본 지식은 알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뭘 살까 하고 검색해 보면...
 

TeamGroup DDR5-5600 CL46 Elite 서린 (16GB)
이라는 제품을 임의로 골라봤다
 
 
팀그룹은 제조사 이름
 
DDR5는 SDR의 종류로서 DDR의 약자는 Double Data RAM
한 번의 클럭신호에 데이터를 두 번씩 보내는 뭐 어쩌구...저쩌구...

다 필요 없고 그냥 요즘 DDR이란 RAM을 사용한다고 보면 됨
 
DDR뒤에 붙은 숫자는 세대(th)라고 생각해 주면 된다
(요즘 4와 5를 주로 쓰는데 이때 내가 선택한 cpu와 호환이 되는지 꼭 확인해야 한다
근데 대체로 호환될걸?)
 
5600은 클럭속도
초당 5,600만 번의 데이터를 보낼 수 있음을 의미함
 
16GB는 용량이고
⟵ 32GB 사고 싶으면 16GB 램 두 개 사서 메인보드에 응기잇 하면 됨
 
cl은 램타이밍이다
클럭속도가 높아도 램타이밍이 높으면 성능이 하락될 순 있으나
작업하는 거 아니면 솔직히 체감 ㅈ도 안될 듯 ㅇㅇ
 
큰 틀은 이 정도만 알면 됨
 
+뒤에 엘리트는 기존 성능의 프라임 버전이라고 보면 되고
서린은 유통사 이름인데 나는 큰 틀 위주로 설명할 거라
자세한 정보는 검색하시길
(아, 참고로 얘는 일반램이다)
 
 
 
+참고로 내 RAM용량을 확인하고 싶다면 내 pc에 들어가
빈 공간에 우클릭 후 속성 탭에 들어가시면 됩니다
(혹은 Ctrl + Shift + esc를 눌러 성능 탭을 누르면 용량 확인 가능)
 


 
 
아래는 컴퓨터 부품에 대한 모든 기초 지식을 정리한 글 모음집
조립식 컴퓨터, 각 부품들에 대한 기능과 선택 가이드
 
 

-끗-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