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기억장치 (HHD, SSD 등)
보조기억장치는 크게 하드디스크(HDD)와 SSD가 있는데
그냥 다 필요 없고 요즘은 SSD만 보면 된다
(내가 영상편집같은 작업을 하는 게 아닌 이상 ⟶ 주로 백업이나 보관용)
HDD와 SSD가 뭐냐 싶을 수 있는데
간단히 짚고 넘어가자면
HDD는 무겁고 속도가 느리지만 가격 대비 용량이 크고 저렴하구요
SSD는 가볍고 속도가 빠른데 가격 대비 용량이 적고 비싸요
(적다곤 말을 했지만 요즘 SSD가 최소 500G ~ 1T 정도 함
⟶ 개인적으론 쓰고도 남을 정도)
정의가 뭐냐 이런 거 말고 이런 장단점만 알고 넘어가도 될 듯
그런 거 설명하는 건 내 취향이 아니기도 함
보조기억장치에서 가장 중요한 건 아무래도 용량임 (+ 2순위는 속도)
RAM을 장바구니라고 했고 보조기억장치를 마트로 비유했었다
(전의 글인 주기억장치-메모리 편 참조)
보조기억장치에서 용량이 크단 얘기는
마트의 규모가 커서 다양한 자재를 팔 수 있단 얘기고
(많은 정보를 적재할 수 있음)
보조기억장치에서의 속도는 필요한 자재를 창고나 업체에서
빨리 받아오는 속도라고 할 수 있다
(빠른 부팅, 프로그램 실행이나 작업 속도 향상 등)
추가로 보조기억장치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는
NAND타입과 프로토콜, 인터페이스가 있는데
좀 골치 아플 수 있다고 생각될 수 있어서
깊숙이 얘기 안 할 거라고 말했지만
쓰고 보니 장황하게 보이네 ㅈㅅ;;
(그런 것도 싫으면 그냥 용량, 속도만 봐도 큰 지장은 없을 듯)
NAND는 회로 이름인데 HDD는 연관이 없고 SSD와 관련이 있음
(그러니 좀 더 좋은 SSD를 살 땐 NAND 타입을 고려해야 함)
다른 건 다 필요 없고 ⟶ 이 순으로 성능, 가격이 올라감
QLC, TLC, MLC, SLC
SLC가 가장 비싸고 성능이 좋고
QLC가 가장 저렴하고 성능이 떨어진다
그렇다고 QLC를 안 쓰냐? 싶을 수 있는데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게 QLC와 TLC다
좀 성능도 챙긴다 싶으면 TLC이상을 고려하면 되고
그냥 적당한 가성비를 챙긴다 싶으면 QLC 선택하면 됨
추가로 2D낸드니 3D낸드니 있을 텐데
NAND 플래시 메모리의 한 종류로 어쩌구...
그냥 2D보다 3D가 더 좋다고 생각하면 됨 ㅇㅇ
(필자는 복잡하게 들어가는 것을 싫어하다 보니 ㅋ
나도 모름. 알기도 싫고 ㅈㅅ)
프로토콜은 데이터 전송 방식 혹은 통신 규약이라고 하는데
이렇게 얘기하면 잘 안 와닿아서 프로토콜을 교통수단으로 비유하면
내가 목적지까지 자전거를 타고 가냐
차를 타고 가냐에 따라 걸리는 시간이 달라짐
근데 만약 목적지 근처 공사로 인해 차가 들어갈 수 없다면 (규약)
도보로 가거나 자전거로 밖에 갈 수 없음
이게 프로토콜 ㅇㅋ?
최신 프로토콜을 쓰면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빨라지겠쥬?
교통으로 치자면 옛날차와 요즘차와의 비교임
또 규약이기 때문에 보안과도 연관이 있음
⟶ 공사 때문에 자전거나 도보로 통행해 주세요 같은 규칙(보안)
보조기억장치에서의 프로토콜은 크게 SATA와 NVMe가 있는데
SATA는 가격이 저렴하나 성능이 낮고
NVMe는 SATA보다 훨씬 빠른데 1.5 ~ 2배 더 비쌈
SSD 쓸 거면 그냥 NVMe 쓰셈
(어차피 대다수 SSD NVMe라 고려 안 해도 됨)
NVMe 뒤 숫자는 버전을 나타내며
보통 1.3이랑 1.4를 많이 씀
(2.0도 있는데 1.3과 1.4, 2.0에 뚜렷한 차이는 모르겠다고 하더라)
SATA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건 SATA III인데
NVMe는 보통 30 Gbps이상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지만
얘는 기껏해야 6 Gbps다
(그러니 백업용 할 거 아니면 SSD 써라)
HDD는 물리적으로 데이터 정보를 관리하기 때문에
(위잉 회전하면서 데이터를 읽음)
한계 속도가 거의 정해져 있다 보니
HDD에는 SATA방식이 종종 보임
(HDD도 NVMe가 있긴 있음)
그래서 빠른 속도와 용량을 챙긴 SSD를 추천하는 것
내가 속도는 중요치 않고 대용량 파일, 영상, 사진 등을
보관만 하고 싶다면 HDD를 사야 함
대용량 HDD를 살 땐
컴퓨터에 탑재하기보다는 usb처럼
외장하드로 따로 보관하는 것을 추천함
본체에는 그냥 SSD 꽂아 넣고 ㅇㅇ
(이건 그냥 개인적인 생각 및 취향임
본체에 꽂아도 되고 ㅇㅇ)
마지막으로 인터페이스를 보자
(사실 크게 중요하지 않은 것 같은데
적어도 이게 대충 뭐냐? 정도만 알면 될 듯)
아까 프로토콜에서 소프트웨어 적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이라고 했쥬?
얘는 하드웨어 적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방식이다
(전자회로 같은 느낌?)
프로토콜에서도 SATA가 있는데 인터페이스에도 SATA가 있다
마찬가지로 주로 하드디스크에서 사용하며
속도는 NVMe보다 매우 느리다
프로토콜에서 NVMe가 있다면 인터페이스에는 PCIe가 있다
그냥 통신규격 이름이니 그렇구나 하고 넘어가자
어느 SSD의 인터페이스가 PCIe 4.0 x4라고 해보자
PCIe뒤 숫자는 버전을 나타내며 높을수록 빠른 성능을 제공한다
뒤 곱하기 숫자는 메인보드에 꽂아야 할 슬롯 크기 의미하는데
메인보드 x4슬롯에 장착을 해야 제 성능을 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x8, x16슬롯에도 장착할 순 있으나 성능이 더 좋아지는 건 아님
특히 x16은 그래픽카드 자리로 많이 씀, 나중에 후술)
참고로 메인보드의 x1, x4, x8 같은 슬롯을 '레인'이라고 부르는데
레인 수가 많을수록 많은 데이터를 보내는 속도가 증가한다 (대역폭 상승)
(도로 2차선 3차선 생각하면 됨, 많을 수록 많은 차가 다닐 수 있으니)
이렇게 이론만 설명하면 아 그렇구나... 하고 말기 때문에
모델 하나 가져와서 정리해 보자
근데 대부분 제품이 이름만으론
내가 말한 모든 정보는 알 수 없고
자세한 건 제품 상세정보를 봐야 하거나 검색해야 함
그리고 다시 한번 말하지만 보조기억장치는
내가 최고사양을 맨날 한다거나 작업할 거 아니면
체감 ㅈ도 안될 거 같으니 가성비대비 좋은 거 사는 거 추천
Western Digital WD BLACK SN850X M.2 NVMe (2TB)
앞에 영어로 쏼라쏼라 하는 건 검색하길 바람
왜냐면 모든 제품이 다 이렇고 대부분 회사명, 제품이름이기 때문
그래도 말해주자면(츤츤) 웨스턴 디자인은 기업 이름이고
WD BLACK은 고성능 제품 라인 (갤럭시, 아이폰 느낌의 시리즈)
SN850는 WD BLACK의 모델 (갤럭시 s10, 아이폰 15 이런 느낌)
X는 기존 SN850의 업그레이드 버전임
이런 건 내가 말하고 싶은 게 아니라 검색해 보길 바람
우리가 실질적으로 알 수 있는 정보는
M.2, NVMe, 2TB다
2TB는 용량인 거 다 알 테고
M.2(엠닷투)는 폼팩터라고 하는데
아까 인터페이스가 하드웨어 적으로 정보를 주고받는다고 했쥬?
그래서 전자회로로 비유했었는데
폼팩터는 플러그라고 할 수 있다
HDMI, USD 같은 꽂는 부분을 폼팩터라고 부르는데...
그니까 우리가 눈에 주로 보이고
어떤 장치에 꽂으려 주로 잡는 맨 끝단 부분이 폼팩터임 ㅇㅇ
아래 사진처럼 ㅇㅇ
(출처: 폼 팩터란 무엇인가? | Crucial KO)

(물론 정확히 말하자면 폼팩터란 부품의 크기나 연결 방식의 규격을 말함
메인보드에서 폼팩터 개념이 또 나옴 ㅇㅇ)
NVMe는 프로토콜 이름으로 SATA방식보다 훨씬 빠른데
별로 신경 쓰지 않아도 됨
왜냐면 대부분 SSD가 NVMe 프로토콜에 PCIe 인터페이스를 쓰거든
(그냥 알고는 있으라고 ㅇㅇ)
추가로 다른 세부사항을 보면
메모리 타입은 TLC
낸드 구조는 3D NAND
프로토콜은 NVMe 1.4
인터페이스는 PCIe 4.0 x 4
순차 읽기는 7.300MB/s
순차 쓰기는 6,600MB/s
TLC는 비교적 가장 저렴하고 가성비가 좋아 많이 쓴다고 했쥬?
3D는 그냥 2D보다 좋다고 생각하면 됨
(솔직히 나도 모르고 알고 싶지도 않음)
프로토콜 뒤 숫자는 버전이라 했고
(대부분 SSD의 인터페이스는 PCIe를 채용해서
그냥 아 그렇구나 하고 생각하면 됨)
뒤 숫자 4.0은 버전이며 x4는 메인보드의 슬롯에 꽂아야 할 구역을 말함
솔직히 뭐... 이렇게 장황하게 써도
필자는 읽고 쓰는 속도와 용량만 크면 장땡이라 생각함
(물론 다른 장치랑 호환되는지도 살펴봐야지)
아래는 컴퓨터 부품에 대한 모든 기초 지식을 정리한 글 모음집
조립식 컴퓨터, 각 부품들에 대한 기능과 선택 가이드
-끗-
'잡담 > 어캐 하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래픽카드 (GPU) 선택가이드? (2) | 2025.03.05 |
---|---|
메인보드(마더보드) 선택가이드? (0) | 2025.03.05 |
메모리 - RAM ( Random Access Memory) 선택가이드? (2) | 2025.03.05 |
CPU (central processing unit - 중앙처리장치) 선택 가이드? (0) | 2025.03.05 |
티스토리 댓글이 자동으로 휴지통으로 갈 때 (5) | 2024.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