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담/어캐 하누?

CPU (central processing unit - 중앙처리장치) 선택 가이드?

주인놈 2025. 3. 5. 10:01
반응형

 

 

CPU (central processing unit - 중앙처리장치)


 
CPU는 컴퓨터의 두뇌, 복잡한 명령어를 처리하는 역할이라고 많이 말함
제품을 둘러다 보면 코어와 스레드, 클럭 속도라는 개념이 나오는데
 
결론부터 말하면
코어와 스레드가 높다면? ⟶ 멀티태스킹 능력 향상
클럭 속도가 높다면? ⟶ 컴퓨터 수행능력 향상
정도로 알고 있으면 됨
 
 
 
조금만 더 깊숙하게 들어가 보자면 (거를 분들은 거르시고) 
---------------------------------------------------
코어
코어라는 것은 어떤 처리 장치의 집합체라고 할까?
ALU, 제어 유닛, 레지스터 등을 묶어서 하나의 처리장치를 만드는데 이걸 코어라고 부름
이런 명령어 처리 장치가 많으면 많을수록 병렬 계산을 하기 수월하니
멀티태스킹 능력이 향상된다는 얘기다
(사람 일손 생각하면 됨, 사람이 많으니 작업이 빨리 끝남)
 
 
스레드
스레드는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최소단위다
이렇게 얘기하면 솔직히 잘 안 와닿아서...
예를 들면 1코어 2스레드라고 가정하자
그럼 마치 하나의 코어가 두개의 명령어를 처리하는 것과 같다!
즉, 1코어 2스레드 = 2코어의 성능과 비슷하다고 보면 됨
(물론 1코어 2스레드보다 2코어가 성능이 훨씬 좋습니다)
 
 
클럭속도
클럭속도는 뭐냐?
클럭(Clock)은 똑딱 하고 한번 신호가 발생할 때
CPU에서 읽고 쓰고 실행하고 저장하고 등등의 일을 하는데
클럭속도가 1G (10억)이라고 하면 읽기, 쓰기, 실행, 저장등의 일을
1초에 10억 번 할 수 있다는 얘기이므로
당연히 높으면 성능이 더욱 좋다는 얘기
(단위는 Hz 헤르츠)
 
 
 
결론은 코어와 스레드는 높으면 높을수록 멀티태스킹의 능력이 좋다
클럭속도는 높을 수록 더 빨리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다! 만 기억하면 됨
근데 높으면 높을 수록 좋다고는 얘기했지만
무조건 높다고 마냥 좋은 건 아님
 
왜냐하면 코어와 스레드는 조별과제 생각하면 됨
사람 많다고 그만큼의 효율이 나오는 건 아니니까
 
클럭속도는 1초에 몇십 억 개의 일을 처리하는데
그러면 당연히 발열이 심해짐
그러면 자연스레 내구도는 당연히 떨어질 수밖에 없음
(참고로 발열은 W와트로 표기하니
쿨러를 살 때 이거에 충족하는 쿨러를 사시길 바라겠습니다)
 
---------------------------------------------------

 

 

 

하드웨어적인 개념은 이 정도로만 하고
솔직히 주로 코어, 클럭속도 이런걸 보고 판단한다기보다는
이름을 보고 판단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아래 글은 CPU모델 이름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에 대한 글임
 
CPU의 대표적인 모델은 현재 인텔과 AMD가 있다
이것도 하나의 모델을 가져와서 설명하는 게 더 빠를 것 같아서 가져와보자면...
 
 
 
1-1. 인텔 CPU 읽는 법
먼저 여기 인텔 제품 i7-13700k가 있다
 
i는 제조사 인텔을 의미하고
숫자 7은 높을수록 무거운 프로그램을 돌리기 수월하다는 뜻 (등급임)
7 정도면 고급형이라고 보면 되고 9 정도면 서버나 워크스테이션으로 적합하다고 함
(당연히 등급이 높을수록 코어와 스레드가 높음)
 
천의 자리인 13은 세대임 (th)
세대가 높을 수록 최신 모델이란 얘기
 기존걸 보다 발전해서 출시했다고 생각하면 됨
 
백의 자리는 성능의 지표다
(예를 들면 i5-13400 보단 i5-13600이 더 좋음)
간혹 가다 십의 자리도 있는데 마찬가지로 성능의 지표다
 
접미사는 여러 가지 알파벳이 붙음
그중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k는 클럭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오버클럭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아래는 간간이 보이는 접미사 (게이밍을 고른다면 K위주로 고르면 됨)

 

접미사 의미
K 클럭수 임의 조정 -> 오버클럭 가능
F 내장그래픽이 없어 조금 저렴 -> GPU 필요
U 저전력 -> 주로 소형 pc
H 주로 고성능 노트북
Y 초전력용 모델 -> 경량 노트북이나 모바일용
G 내장 그래픽 탑재 (G뒤 숫자가 높을 수록 성능↑)
X / XE 울트라슈퍼캡쨩초고하이엔드스펙 용


 

 
 
 
1-2. CPU AMD 읽는 법
 
위 인텔 i7 - 13700k와 동급으로 여겨지는
AMD제품군의 ryzen 7 7800x3d이 있다
 
라이젠은 AMD회사의 cpu의 이름
숫자 7은 인텔과 마찬가지로 높으면 높을수록 좋은 등급의 지표
(7 정도면 고급형이라 할 수 있음, 5면 보급형?)
 
천의자리는 세대 th
인텔과 마찬가지로 세대가 높을수록 최신 모델이란 얘기
 기존걸 보다 발전해서 출시했다고 생각하면 됨

백의 자리는 성능의 지표
(라이젠 5 8400보단 8600이 좋듯이)
간혹 가다 십의 자리도 있는데 마찬가지로 성능의 지표다
 
뒤의 X는 성능을 높인 CPU - 고급모델이라고 생각하면 되고
3d는 캐시메모리를 추가하여 성능을 향상시키는 어쩌구...
나는 전체적인 큰 툴만 다룰 거기 때문에
세부적인 내용은 검색해 보길 바람 ㅇㅇ
 
아래는 AMD 제품의 접미사 (게이밍을 생각한다면 X나 X3D)
 

접미사 의미
X 일반보다 클럭 속도가 높게 설계된 고성능 모델
H 고성능 노트북
G 내장 그래픽 탑재  (G뒤 숫자가 높을 수록 성능↑)
U 저전력 -> 주로 소형 pc
X3D 게임 성능 최적화

 
 
 
참고로 라이젠 제품들을 조사하다보면 APU라는 용어가 나오는데
(접미사 G의 제품 말하는 거임, 인텔도 마찬가지고)
 
CPU랑 GPU를 합친 느낌이라고 이해하면 됨
좋다고 ㅇㅇ
(GPU는 그래픽카드에서 설명함)

 

 

 

 

인텔과 라이젠의 차이점이라고 한다면
인텔은 주로 고성능 멀티태스킹 작업등에 초점을 맞췄다면
라이젠은 게임, 발열 등의 성능에 초점을 맞췄다고 해야 되나
 
차이점이라곤 했지만 솔직히 가정용에서
내가 고사양 게임에 미쳐있다거나 작업을 한다는 게 아닌 이상
적당한 사양의 게임이나 영상시청 말고는 안 할 텐데
뭐 체감이 얼마나 나겠음 ㅋ 
그러니 취향에 맞게 고르시면 됩니다
 
 
 
 
+참고로 내 CPU 모델명이 궁금하다면 내 pc에 들어가
빈 공간에 우클릭 후 속성 탭에 들어가시면 됩니다
프로세서라고 적혀있는 곳이 CPU

 
 

 

 


아래는 컴퓨터 부품에 대한 모든 기초 지식을 정리한 글 모음집

조립식 컴퓨터, 각 부품들에 대한 기능과 선택 가이드

 

 

 

 

-끗-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