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담/어캐 하누?

메인보드(마더보드) 선택가이드?

주인놈 2025. 3. 5. 10:18
반응형

 

 

메인보드 (마더보드)


 
메인보드는 여러 개의 장치(파워, cpu, 램, ssd 장 등)를 연결하고 통합하는 장치이다
 
멀티플러그 생각하면 됨
⟶  물론 얘는 단순히 전기를 여러 곳에 전달하는 역할이고 
메인보드는 여러 가지 데이터를 통제하고
관리하는 측면에선 보면 다르지만
세세한 건 넘어가자
 
 
그니까 컴퓨터 뒤 여러가지 꽂을 수 있는 게 있지?
그게 메인보드임
(출처: [컴린이]케이스 i/o 쉴드와 메인보드의 틀어짐 해결방법을 알려주세요. > CPU/메인보드/램 | 퀘이사존 QUASARZONE)
 

 
 
메인보드를 살 때 고려해야 할 요소는 다음과 같다
1. 내가 살 CPU와의 호환성 (소켓)
2. 내가 살 RAM과의 호환성 (DDR4 혹은 5의 지원 여부)
3. 칩셋 종류 (고가형인지 저가형인지에 따라 확장 및 저장장치 슬롯 개수 늘어남)
4. 폼팩터
 
같은 걸 고려하면 되는데 차례대로 살펴봅시다... 
 
 
 
 
1. 소켓
소켓은 CPU와의 호환성이라고 했쥬?
근데 사실상 요즘 출시되는 것들은 인텔 lga 1700으로
AMD는 소켓 AMD4 아니면 5로 출시된다
그래서 이거에 맞춰서 메인보드를 사면 되는데
그래도 그게 뭔데 씹덕아 할 수 있기 때문에
아주 잠깐 짚고 넘어가자면...
 
lga는 cpu 종류 중 하나고 뒤 숫자는 핀의 개수다
lga는 메인보드에 살포시 얹어서 쓰는데
아래 사진처럼 생김 ㅇㅇ
(출처: CPU 소켓 방식의 종류 : 네이버 블로그)
 

 
 
 
pga는 반대라고 생각하면 됨
cpu에 핀이 달려있고 메인보드에 꽂아서 사용하는 방식 ㅇㅇ
 
소켓 AMD4가 PGA인데
AMD는 5부터 LGA로 변경되었기 때문에 주의하자
 
이 정도만 알고 있으면 될 듯
 
 
 
 
2. RAM 호환성
RAM에서 주로 쓰이는 게 DDR4 아니면 5라고 했다
그러니 이걸 지원해 주는 메인보드를 사면 된다
 
얘는 무조건 똑같은 걸 사야 함
그니까 메인보드 중에 DDR5지원되는 거 하나 사고
RAM을 DDR4 꽂아도 됨? 이거 안된다고 ㅇㅇ
 
깊숙이 들어가면 핀 배열이 다르다느니
전압 관리가 다르다더니 뭐 이런 얘기가 있지만 집어치우고...
 
뭐 간혹 DDR4랑 5 모두 지원되는 게 있긴 하지만
복잡한 거 싫으면 똑같은 거 사라 이 말이야
 
 
 
 
 
3. 칩셋 종류
얘도 인텔이랑 AMD가 갈리는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일수록 고성능임
인텔: H, B, Z
AMD: A, B, X
 
고급형일수록 좀 더 기능과 확장성(PCIe나 M.2같은)이 좋음
또 메인보드가 각 장치의 허브의 기능을 하므로
얘가 좋으면 당연히 메인보드에 연결된 장치가
좀더 매끄럽게 성능이 나오겠쥬?
 
추가로 가끔 wifi 같은 기능도 제공하는데
보통 가정용 컴퓨터를 랜선으로 연결하지 않나..?
물론 필요한 사람들에겐 필요하겠지만
필자는 돈만 추가로 더 들어간다고 생각해서 제외
 
 
4. 폼팩터
간단히 말해 메인보드의 사이즈다
 
하드디스크에서 폼팩터를 설명할 때 꽂는 단자다!
이렇게 설명해서 헷갈릴 수 있는데
정확하게 말하자면 폼팩터란
부품의 크기와 연결 방식 규격을 말한다
여기선 부품의 크기임
 
우리가 옷을 살 때 [스몰, 미디엄, 라지] 이런 식으로 분류하듯
얘도 크기로 분류한다. (→순으로 큼)
ITX, M-ATX, ATX인데
본인이 그냥 일반 가정용 컴퓨터를 원한다면 ATX를 사면 된다
(나머지는 작은 사이즈로 구축할 때 사용됨)
 
 
 
 
 
 
그냥 설명하고 말면 아 그렇구나 하고 말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제품 아무거나 하나 골라와서 앞서 말한 개념들을 정리해 보자
GIGABYTE Z790 AORUS ELITE를 골라봄
(다나와 사이트를 이용했다)
 

 
 
 
빨간 부분이 좀 많이 쳐져있는데 겁먹지 말고 빠르게 훑어보자
필요한 부분만 보고 모르는 게 있으면 검색하면 된다
 
 
 
1. 소켓
본인 CPU와 맞는 걸 사면된다
인텔이면 LGA 1700, AMD면 4 아니면 5
 
 
2. 칩셋
 ⟶일수록 고성능이라 했쥬?
인텔: H, B, Z
AMD: A, B, X
고성능일수록 슬롯 개수도 늘어난다 보면 된다
연결된 장치의 성능도 약간 올라가고 ㅇㅇ
 
 
3. 메모리 슬롯
본인 메모리(RAM)와 맞는 거 사면 됨
본인 메모리가 DDR4면 저거 사면 안된다
램을 총 4개 꽂을 수 있고
용량을 최대 192GB까지 지원한단 얘기다
 
 
4. 그래픽카드 
나중에 그래픽카드 때 언급하겠지만 16은 그래픽카드 꽂는 자리임
그 옆에 밑줄 쳐져 있는 데는 똑같이 x16크기의 슬롯이 두 개가 있지만
x4만큼의 속도를 낸다는 뜻임
만약 내가 SSD 저장장치 슬롯이 좀 부족하다
혹은 네트워크 카드 같은 확장 카드를 꽂고 싶다면 저기에 꽂아도 됨
 
 
5. 저장 슬롯
마지막 동그라미 3개는 저장 슬롯이다
그 옆에는 M.2 슬롯이 4개 (SSD 꽂는 전용 자리임, 부족하면 PCIe 16(at x4)로 ㅇㅇ)
하드디스크 같은 SATA3 방식이 꽂을 수 있는 데가 6개임
 
 
 
뭐 그 밖에도 설명한다면 할 수 있겠지만 자잘한 거라 생각돼서

그냥 넘어감

 

 

 

 

 

아래는 컴퓨터 부품에 대한 모든 기초 지식을 정리한 글 모음집

조립식 컴퓨터, 각 부품들에 대한 기능과 선택 가이드

 

 

 

-끗-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