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담/어캐 하누?

파워 서플라이 선택가이드?

주인놈 2025. 3. 5. 10:35
반응형

 

파워 서플라이


 
파워 서플라이가 무슨 기능을 하는지는 설명할 것도 없겠쥬?
그래서 앞선 글보단 양이 적음
 
Power(전력) supply(공급),
각 장치에 전력을 공급함 ㅇㅇ
그렇다 보니 메인보드, CPU, 그래픽카드, 쿨링팬 등
여러 장치에 내가 직접 연결해야 하는 수고로움이 있긴 함
(근데 뭐 세상사 뭐든지 할 줄 알면 쉽습니다)
 
 
고려해야 할 요소는 아래와 같다
1. 용량(W)
2. 모듈러
3. 크기(메인보드의 폼팩터)
4. 효율성
 
추가적으로는 소음도 고려할 수 있는데
그냥 뺌. 브랜드 보고 알아서 하십쇼.
 
 
 
 
 
1. 용량(W)
뭐 대강 짐작할 수 있을 거 같은데
서플라이 용량 작은 거 사고 컴퓨터에 막
모니터나 그래픽카드 같은 여러 장치들을
전력 생각 안 하고 막 꽂으면 컴퓨터 셧다운 된다
 
특히 그래픽카드는 전력을 많이 소모하기 때문에
내가 그래픽카드를 비교적 최신 모델을 쓴다

싶으면 적어도 1,000W(와트) 이상
사는 것을 추천한다
 
 
 
 
 
2. 모듈러
낯선 용어라 겁먹을 수 있는데 별거 없다
모듈러는 크게 3가지로 나뉘는데
비모듈러(일반형), 세미 모듈러, 풀 모듈러가 있다
 
내가 파워 서플라이를 샀는데
모든 케이블이 서플라이에 연결되어 있다!
일체형-탈부착할 수 없으면 비모듈러
 
케이블 일부분만 서플라이와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는 알아서 꽂으라고 케이블이 동봉되어 있으면 세미 모듈러


케이블 디따 많고 니 다 알아서 꽂으셈 하면 풀 모듈러
(주로 값나가는 고급형은 대부분 풀 모듈러다)
 
 
 
 
 
3. 크기(메인보드의 폼팩터)
메인보드 크기 규격에 맞게 서플라이도 그에 맞는 것을 사야 한다
내가 메인보드 ATX를 사용한다고 한다면
서플도 'ATX파워'라고 적힌 걸 사야 한다
 
 
 
 
 
 
4. 효율성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말하며 숫자로 나타내기보단 
브론즈, 실버, 골드, 플레티넘, 티타늄 같은 지표를 쓴다
딱 봐도 어디 쪽으로 가면 효율이 제일 좋은지 감이 오쥬?
 
골드가 한 87~90% 효율을 보이고
플래티넘이 90~92%, 티타늄이 92~94%의 효율을 보인다
 
내가 셋업에 미친놈이 아니라면 골드나 플래티넘이 적당해 보인다
 
 
 
 
마지막으로 '다나와'의 제품을 임의로 골라보자면...

 
 
슈퍼플라워는 제조사 이름, 1000은 용량이겠쥬?
플래티넘은 효율 등급.  맨 오른쪽 동그라미 친 부분엔

풀 모듈러라 적혀있음
 
추가적으로 길이나 깊이가 주변 장치를 간섭하거나
케이스에 안 맞다거나 하는 문제도 살펴주면 됨
파워 서플라이의 큰 틀은 이게 끝 ㅇㅇ
 
뭐 세부적인 요소는 직접 검색하는 게 나음

GPT한테 묻든가
(리덱스 7이니 뭐니 프로니 ㅇㅇ)
 
 

 

 

 

 

아래는 컴퓨터 부품에 대한 모든 기초 지식을 정리한 글 모음집

조립식 컴퓨터, 각 부품들에 대한 기능과 선택 가이드

 

 

 

-끗-
 

반응형

'잡담 > 어캐 하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키보드 선택가이드?  (0) 2025.03.05
쿨러 선택가이드?  (0) 2025.03.05
그래픽카드 (GPU) 선택가이드?  (2) 2025.03.05
메인보드(마더보드) 선택가이드?  (0) 2025.03.05
보조기억장치 선택가이드?  (0) 2025.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