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담/어캐 하누?

쿨러 선택가이드?

주인놈 2025. 3. 5. 10:38
반응형

쿨러


 

발열이 생기면 부품의 성능이 자연스레 떨어진다

(뭐 저항값이 올라가 전류가 잘 안 흐른다고 한다나?)

 

그래서 필요한 게 이 발열을 잡는 쿨러다

그래픽카드에도, 파워 서플라이에도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는데

 

보통 쿨러를 말할 땐 CPU쿨러를 말한다

(장착할 때 CPU에 안착해서 발열을 잡음)

 

쿨러를 살 땐 다음과 같은 요소를 고려하면 됨

 

 

1. 쿨러 종류 (냉각수-수랭 vs 바람-공랭)

2. CPU 소켓 호환성 (인텔과 amd 소켓)

3. 크기 (공간 확보 및 부품들 내부 간섭) 

4. 성능 (CPU 발열 - tdp)

5. 소음

 

 

 

 

 

1. 쿨러 종류

냉각수로 CPU 발열을 잡을 거냐

아니면 바람으로 CPU 발열을 잡을 거냐임

우리는 흔히 이것을 수랭 vs 공랭으로 부름

 

딱봐도 냉각수가 발열을 잘 잡겠쥬?

근데 설치와 유지보수가 귀찮다는 의견이 있음

 

게다가 까딱 잘못하다 누수가 되면 다른 부품들도

망가질 수 있다는 가능성이 있어 필자는 꺼려하는 편이지만

요즘 기술력으론 그럴 가능성이 낮다고는 하더라

(게다가 LCD로 예쁘게 커스터마이징도 가능해서

뭔가 컴퓨터를 예쁘게 꾸미고 싶은 사람들에게 추천함)

 

 

 일반 가정용에서 흔히 쓰는 것은

역시 공랭이라고 봐야 함

설치도 간편하고 소음도 수랭에 비해 일반적으로 적음
(뭐, 소음은 제조사 by 제조사겠지만)

 

근데 바람으로 CPU열을 어떻게 잡음?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아까 CPU위에 쿨러를 설치한다고 했다

 

근데 단순히 그냥 쿨러를 CPU위에 올려놓는 게 아니라

무슨 써멀그리스? 같은 걸 발라 접착시키는데

이게 열 전도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전도율이 높으니 CPU발열을 비교적 쉽게 잡는다고 생각하면 됨

 

 

 

 

 

 

2. CPU 소켓 호환성 (인텔과 amd 소켓)

얜 뭐 본인이 선택한 CPU 소켓을

쿨러가 지원하는 지만 잘 보면 된다

 

뭐 인텔은 LGA 1700, LGA 1200 이런 식으로

AMD는 AMD5, AMD4 이런 식으로 표기되어 있음

 

이게 끝

 

 

 

 

3. 크기 (공간 확보 및 부품들 내부 간섭) 

얘는 좀 골치 아프다

쿨러의 가로, 세로, 높이를 토대로

메모리 슬롯, 그래픽카드, 컴퓨터 케이스에

들어가는지 일일이 확인해 주어야 하는데;;

 

언제 일일히 확인하고 있냐.

이럴 때 챗GPT를 쓰는 거지

 

마지막 팁에서도 언급하겠지만

본인이 CPU, 램, 메인보드, 쿨러 등 다 고르고

GPT한테 "이대로 조립할 생각인데 무슨 문제가 없을까?" 하고

물어보면 GPT가 알아서 대답해 줄 거다

 

필자도 그냥 GG침

(뭐, 이런 무책임한;;)

 

 

 

 

 

4. 성능 (CPU 발열 - TDP)

CPU를 설명할 때 발열 표기 단위를 W(와트)로 표기한다고 했었다

쿨러도 W로 표기하니 본인 CPU와 맞는 발열을 사면 되겠다

 

근데 녹투아 같은 제품은 TDP표기를

안 하는 경우가 있어서 리뷰글을 봐야 할 거다

(뭐, 본사는 실제 테스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성능을 보장한다! 

라고는 하는데 소비자 입장에선 불편할 따름이다)

 

 공랭은 싱글 타워니, 미들타워니 있는데

단순히 팬이 한 개냐 두 개냐를 말하는 거임

 

수랭은 라디에이터 몇열 이런 말을 씀

당연히 개수가 늘어날수록 발열 잡는 성능도 좋아진다

(크기와 무게도 커지구요)

 

 

 

 

 

5. 소음

팬이나 펌프의 소리를 말한다

소음이 크면 당연히 사용자가 불편을 겪겠쥬?

 

뭐 방음이 되는 케이스를 사거나

소음이 적은 쿨러를 사던가는 선택사항이다

 

최대 팬소음이 있으니 그거 보고 참고하면 될 듯 (단위는 데시벨 dB)

보통 20~30dB일 텐데 이렇게 말하면 감이 안 오니까 예시를 들면...

 

20dB는 도서관에서 속삭이는 소리, 귓속에서 들리는 심장 박동 소리 

30dB는 개울 소리, 시계 초침 소리로 알고 있으면 될 듯

 

 

 

마지막으로 제품을 임의로 골라 복습해 보자면...

 

 

 

 

1.

싱글타워 (팬 한 개)

공랭 (바람으로 열을 식힘)

TDP 200W (CPU의 TDP와 맞는지 확인)

 

2.

본인 CPU가 인텔을 쓴다면 LGA를 보면 되고

AMD면 AMD 보고 지원되는지 확인

 

3.

크기는 필자도 서렌쳐서

각 부품을 고르고 챗 GPT한테

"이대로 사서 조립할 건데 문제가 없을까?"

라고 물어보는 것을 추천함

 

4. 

ㅇㅇ 소음

 

 

 비교적 저렴한 제품은 써멀그리스가

동봉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으니

잘 살펴보길 바람

 

 

 

이런 식으로 표기되어 있으면 준다는 얘기임

 

 

 

 

 

 

 

 

아래는 컴퓨터 부품에 대한 모든 기초 지식을 정리한 글 모음집

조립식 컴퓨터, 각 부품들에 대한 기능과 선택 가이드

 

 

 

 

-끗-

반응형

'잡담 > 어캐 하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우스 선택가이드?  (0) 2025.03.05
키보드 선택가이드?  (0) 2025.03.05
파워 서플라이 선택가이드?  (0) 2025.03.05
그래픽카드 (GPU) 선택가이드?  (2) 2025.03.05
메인보드(마더보드) 선택가이드?  (0) 2025.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