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컴퓨터 18

메인보드(마더보드) 선택가이드?

메인보드 (마더보드) 메인보드는 여러 개의 장치(파워, cpu, 램, ssd 장 등)를 연결하고 통합하는 장치이다 멀티플러그 생각하면 됨⟶  물론 얘는 단순히 전기를 여러 곳에 전달하는 역할이고 메인보드는 여러 가지 데이터를 통제하고관리하는 측면에선 보면 다르지만세세한 건 넘어가자  그니까 컴퓨터 뒤 여러가지 꽂을 수 있는 게 있지?그게 메인보드임(출처: [컴린이]케이스 i/o 쉴드와 메인보드의 틀어짐 해결방법을 알려주세요. > CPU/메인보드/램 | 퀘이사존 QUASARZONE)   메인보드를 살 때 고려해야 할 요소는 다음과 같다1. 내가 살 CPU와의 호환성 (소켓)2. 내가 살 RAM과의 호환성 (DDR4 혹은 5의 지원 여부)3. 칩셋 종류 (고가형인지 저가형인지에 따라 확장 및 저장장치 슬롯 ..

보조기억장치 선택가이드?

보조기억장치 (HHD, SSD 등) 보조기억장치는 크게 하드디스크(HDD)와 SSD가 있는데그냥 다 필요 없고 요즘은 SSD만 보면 된다(내가 영상편집같은 작업을 하는 게 아닌 이상 ⟶ 주로 백업이나 보관용) HDD와 SSD가 뭐냐 싶을 수 있는데간단히 짚고 넘어가자면HDD는 무겁고 속도가 느리지만 가격 대비 용량이 크고 저렴하구요SSD는 가볍고 속도가 빠른데 가격 대비 용량이 적고 비싸요(적다곤 말을 했지만 요즘 SSD가 최소 500G ~ 1T 정도 함⟶ 개인적으론 쓰고도 남을 정도) 정의가 뭐냐 이런 거 말고 이런 장단점만 알고 넘어가도 될 듯그런 거 설명하는 건 내 취향이 아니기도 함 보조기억장치에서 가장 중요한 건 아무래도 용량임 (+ 2순위는 속도)RAM을 장바구니라고 했고 보조기억장치를 마..

메모리 - RAM ( Random Access Memory) 선택가이드?

주기억장치인 메모리 - RAM ( Random Access Memory) RAM은 데이터의 임시 저장소라고 생각하면 된다왜 주(Main)이라는 글자가 들어갔는데 임시라는 개념이 쓰이냐? 좀 더 딥하게 들어가자면CPU는 계산만 처리하고 정보를 저장하지 못하니까저장하는 곳을 따로 만듦 그게 보조기억장치임 (하드디스크 - HDD나 SSD 같은 용량이 매우 큰 장치)근데 CPU가 HDD로부터 정보를 가져오는 속도가 매우 느리기 때문에비교적 액세스 속도가 빠른 RAM에 컴퓨터 구동에 필요한필수 정보를 와바박 때려 박고 필요 없으면 보조기억장치로부터 교체하는 식임그리고 컴퓨터 전원이 꺼지면 RAM에 있던 정보는 모두 날아감이걸 휘발성이라고 하는데 뭐 이런 건 패스하고... 아무튼 CPU와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장치..

CPU (central processing unit - 중앙처리장치) 선택 가이드?

CPU (central processing unit - 중앙처리장치) CPU는 컴퓨터의 두뇌, 복잡한 명령어를 처리하는 역할이라고 많이 말함제품을 둘러다 보면 코어와 스레드, 클럭 속도라는 개념이 나오는데 결론부터 말하면코어와 스레드가 높다면? ⟶ 멀티태스킹 능력 향상클럭 속도가 높다면? ⟶ 컴퓨터 수행능력 향상정도로 알고 있으면 됨   조금만 더 깊숙하게 들어가 보자면 (거를 분들은 거르시고) ---------------------------------------------------코어코어라는 것은 어떤 처리 장치의 집합체라고 할까?ALU, 제어 유닛, 레지스터 등을 묶어서 하나의 처리장치를 만드는데 이걸 코어라고 부름이런 명령어 처리 장치가 많으면 많을수록 병렬 계산을 하기 수월하니멀티태스킹 능력이..

한글 문서에 서명 넣는 방법

1. 핸드폰 메모장이든 종이든 서명을 하고 사진을 찍는다 (스크린 샷을 한 경우 알맞게 재단) 2. 한글과 컴퓨터에 드래그해서 서식한다. (사진은 메일이나 카카오톡으로 보내면 됨) 3. 마우스 우클릭해서 개체속성에 들어가고 '글자처럼 취급' 체크박스 해제 '본문과의 배치'에서 맨 뒤로 클릭, 그림 탭에서 그림효과를 흑백으로 선택 4. 알맞게 위치, 크기 조절 물론 야메라서 성의 없어 보이기도 하고 정말 급할 때 하는 게 좋을 듯 ㅇㅇ -끗-

노트북 와이파이 끊기거나 안될 때 조치 방법

보통 와이파이 아이콘이 사라지거나 핸드폰 와이파이는 잘 되는데 노트북은 연결이 안 된다고 할 때 조치방법이다. 물론 해결이 가끔 안될때도 있는데... 그럴 때는 시간이 답이다. 재부팅하니 어떨땐 되고 어떨 땐 안되더라 (뭐 이런 그지 같은 게.. 좀 고쳐라 좀) 일단 윈도우 + X을 눌러 장치관리자(M)를 누르자. 그러면 아래 화면처럼 나온다. 그중에서 네트워크 어댑터를 눌러보자 그리고 맨 위에 보기를 눌러 숨겨진 장치 표시를 클릭하자 그러면 Wireless 혹은 Wifi-adapter #2, #3, 이런 식으로 나올 텐데 Wireless, adapter을 제외한 나머지(#2, #3) 제거해주자 제거했다면 재부팅... 도움이 되었기를 바란다.

윈도우 정품 인증 10초 만에 하는 방법 - cmd

윈도우 창 옆 검색어에 cmd라 입력하자 그다음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서 아래 코드를 복사 붙여 넣기 하면 된다 slmgr/ipk TX9XD-98N7V-6WMQ6-BX7FG-H8Q99 slmgr /skms kms.digiboy.ir slmgr /ato '제품에 대한 정품 인증을 받았습니다.' 이 문구가 뜨면 성공 가끔 안될 때도 있으니 제품키를 바꿔본다던가 명령어 slmgr /skms 뒤의 주소? 같은걸 바꿔보면 해결될거다. -끗-

반응형